도승지2 도승지 뜻 : 조선시대 승정원 최고 관직, 국왕 비서실장 격 개요도승지(都承旨)는 조선시대 승정원(承政院)의 여섯 승지 중 수석으로, 정3품 당상관 직위입니다. 국왕의 친명교지·상소·계제 등 모든 공식 문서를 관리·총괄하며, 왕권과 신하들의 소통을 중재하는 핵심 비서실장 역할을 수행했습니다.명칭의 기원과 제도 변천조선 건국 초기인 1392년(태조 1)에 중추원(中樞院) 산하 승지방(承旨房)의 장관으로 설치된 것이 시초입니다. 이후 1400년(정종 2)에 승정원(承政院)으로 독립하면서 도승지 직책이 공식화되었습니다. 1401년(태종 1) 잠시 지신사(知申事)로 명칭이 바뀌었다가, 1433년(세종 15)에 다시 도승지로 환원되었습니다. 을묘왜변 이후 승정원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며 도승지 권한도 강화되었고, 1894년 갑오개혁 때 폐지될 때까지 약 500년간 존속했습니.. 2025. 10. 24. 도승지 비서실장 : 조선의 국정 핵심을 맡았던 국왕 비서실장 직위 도승지의 정의와 유래도승지(都承旨)는 조선 시대 승정원(承政院)의 최고 관직으로, 오늘날 대통령 비서실장에 해당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았던 정3품 당상관 직위입니다. 도령(都令) 또는 도도령(都都令)이라고도 불렸으며, 주로 국왕의 최측근에서 국정 운영을 보좌하는 막중한 자리를 차지했습니다. 1392년 조선 건국과 함께 탄생하여 1894년 갑오개혁 시기까지 존속했던 제도입니다.승정원은 왕명을 출납·전달하고, 국왕에 올리는 상소문이나 신하들의 보고를 중재하는 기구였습니다. 이처럼 도승지는 국왕의 명령이 관청과 신하들에게 제대로 전달되도록 총괄하며, 모든 국가 문서와 보고의 중심 노릇을 했습니다. 그래서 ‘왕의 가장 가까운 곳에서 왕을 돕는 비서실장’에 비유됩니다.주요 역할 및 직무왕명 출납왕(임금)이 내.. 2025. 10. 2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