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어처리3

멀티모달 뜻 :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처리하는 차세대 AI 기술 멀티모달의 정의와 개념멀티모달(Multimodal)이란 '여러 개'를 의미하는 '멀티(Multi)'와 '양식' 또는 '양상'을 뜻하는 '모달(Modal)'이 결합된 용어로, 인공지능 기술 분야에서는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하고 통합하여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모달리티(Modality)는 인간이 정보를 받아들이는 방식이나 인터랙션 과정에서 사용되는 의사소통 채널을 가리키며, 시각, 청각, 촉각, 미각 등 다양한 감각을 통해 정보를 파악하는 것을 포함합니다.멀티모달 AI는 인간이 오감을 통해 세상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방식을 모방한 기술입니다. 사람은 사물을 이해할 때 시각적 정보만을 사용하지 않고, 청각, 촉각 등 여러 감각 기관을 통해 얻은 정보를 .. 2025. 10. 24.
알짜 뜻 : 여럿 가운데 가장 중요하거나 훌륭한 물건을 지칭하는 명사 알짜는 한국어에서 여럿 가운데 가장 중요하거나 훌륭한 물건을 지칭하는 명사로, 2023년 표준국어대사전에 정식 등재되며 언어적 위상을 공인받았다. 이 용어는 '알(벗겨낸 핵심)'과 '짜(뽑아낸 것)'의 합성어로,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실속 있는 표본 △가치 있는 본질을 추출한 결과물을 의미한다.어원적 기반과 의미 확장1. 순우리말의 조어법'알-' 접두사는 겉을 덮은 껍질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며(알몸, 알땅), '-짜'는 '뽑다'의 옛말 'ᄢᆞ다'에서 유래했다. 따라서 알짜는 겉잡음을 제거한 순수 핵심이라는 뉘앙스를 내포한다. 18세기 문헌인 『역어유해』에서 '알ᄎᆞᆷ'으로 처음 등장하며, 1920년대 현대적 용법으로 정착되었다.2. 의미 층위의 다각화물리적 추출: 곡식에서 쭉정이를 걸러낸 정제(精製).. 2025. 6. 15.
유진 구스트만: 인간과 AI의 경계를 허물다 유진 구스트만은 2014년 튜링 테스트를 통과한 최초의 AI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AI의 배경, 기능, 논란, 그리고 미래의 AI 발전에 끼친 영향을 살펴봅니다.유진 구스트만이란 누구인가?유진 구스트만의 정체가상의 소년: 유진 구스트만은 13세 우크라이나 소년이라는 설정으로 개발된 챗봇 AI입니다. 그의 나이와 배경은 일부러 인간처럼 혼란스러운 대화를 만들어내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창작 목적: 이 AI는 자연어 처리를 기반으로 인간과 대화를 나누며, 인간처럼 보이는 대화 능력을 평가받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2014년의 성공: 유진 구스트만은 튜링 테스트를 최초로 통과하며 세간의 주목을 받았습니다.AI 개발의 배경개발자 팀: 유진 구스트만은 블라디미르 베슬로브와 그의 팀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챗봇의 초점.. 2024. 1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