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훈구파2

연산군일기 : 조선 제10대 왕 연산군 재위기간의 역사를 기록한 편년체 실록 연산군일기의 개요와 편찬 배경연산군일기는 조선시대 제10대 국왕인 연산군의 재위 기간 동안 발생한 역사적 사실들을 기록한 실록입니다. 이 기록은 1494년 음력 12월 25일부터 1506년 음력 9월 2일까지 약 11년 9개월에 걸친 연산군 시대의 국정 전반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총 63권 46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활자본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연산군일기의 편찬은 연산군이 중종반정으로 폐위되고 사망한 직후인 1506년 중종 1년 11월에 시작되었습니다. 편찬 작업은 약 3년에 걸쳐 진행되어 1509년 중종 4년 음력 9월 12일에 완성되었습니다. 처음 편찬을 주도한 인물은 대제학 김감이었으나, 편찬 시작 3개월 만인 1507년 중종 2년 음력 2월에 김감이 대신 암살사건으로 유배를 가면서 신용개.. 2025. 10. 16.
훈구파 : 조선 전기부터 중기까지 정치의 중심에 있었던 세력 훈구파는 조선 전기부터 중기까지 정치의 중심에 있었던 세력으로, 국가의 기틀을 다지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그들의 기원, 주요 인물, 사림파와의 갈등, 그리고 현대적 재조명까지 훈구파의 역사를 깊이 있게 살펴봅니다.훈구파의 기원과 형성조선 건국과 공신 세력의 등장훈구파는 조선 건국과 세조의 즉위 과정에서 공을 세운 공신들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습니다.이들은 세조의 집권과 함께 핵심 지배층으로 자리 잡으며, 성종 때까지 지속적으로 권력을 유지했습니다.공신 책봉을 통해 정치적 영향력을 강화하고, 경제적 부를 축적하였습니다.관학파와의 연계훈구파는 관학파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국가의 제도 정비와 학문 발전에 기여했습니다.집현전 학사로 활동하며 『경국대전』, 『동국통감』 등의 편찬을 주도하였습니다.이를 통해 .. 2025. 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