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3 도병마사 식목도감 : 고려시대 국정 운영을 위한 양대 독자적 회의 기관 서론고려시대는 당나라의 제도를 모방하여 2성 6부의 중앙 관제를 정비하면서도, 고려만의 독자적인 정치 체제를 구축했습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도병마사(都兵馬使)와 식목도감(式目都監)이라는 두 개의 회의 기관입니다. 도병마사는 대외적인 국방과 군사 문제를 관장했고, 식목도감은 대내적인 법제와 격식을 관장하는 기관으로, 이 두 기관은 고려 귀족 정치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핵심적인 정치 기구였습니다. 이들 기관은 중국의 당나라나 송나라, 그리고 신라나 태봉의 관제에서 기원하지 않은 순수한 고려의 독자적인 정치 기구로서, 고려 왕조의 정치적 독창성을 대변하는 중요한 제도적 장치였습니다.도병마사의 설립과 발전도병마사는 989년(성종 8년)에 설치된 동서북면병마사(東西北面兵馬使)의 판사제(判事制)에서 .. 2025. 10. 19. 권문세족 : 고려 후기에 강력한 권력을 행사했던 친원 세력 가문 권문세족은 고려 후기에 강력한 권력을 행사했던 가문으로,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 글에서는 권문세족의 형성 배경, 특징, 주요 인물, 그리고 그들이 고려 사회에 미친 영향을 깊이 있게 살펴봅니다.권문세족의 형성 배경몽골 간섭기의 등장몽골과의 관계: 고려 후기 원나라(몽골)의 간섭이 심화되면서, 친원 세력을 중심으로 권문세족이 형성되었습니다. 원나라와의 혼인 및 정치적 연계를 통해 권력을 확대하였습니다.기존 귀족과의 차별화: 기존의 문벌 귀족과 달리, 원나라의 지지를 받으며 새로운 정치 세력으로 성장하였습니다.경제적 기반 확보: 원나라의 후원을 받아 토지와 재산을 축적하며, 고려의 경제 구조에도 큰 변화를 초래하였습니다.고려 사회의 변화무신 정권의 몰락: 최씨 무신 정권이.. 2025. 2. 9. 최영 장군: 고려의 위대한 무신과 충절의 상징 최영(崔瑩) 장군은 고려 시대를 대표하는 무신으로, 외세의 침략에 맞서 나라를 지키고 충성과 절개를 끝까지 지킨 인물입니다. 그의 생애와 업적은 오늘날에도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며, 특히 나라를 위한 헌신과 신념의 가치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최영 장군의 생애, 업적, 리더십, 역사적 평가, 관련 유적지, 그리고 현대적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최영 장군의 생애출생과 성장고려 후기 출생: 최영은 1316년(충숙왕 3년) 경기도 이천에서 태어났습니다.무신 가문 출신: 그는 무신 가문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무예와 학문을 겸비한 인물로 성장했습니다.나라를 위한 뜻: 젊은 시절부터 나라를 위해 헌신하겠다는 뜻을 품고 군인의 길을 선택했습니다.군사 경력 시작고려군에 입대: 최영은 고려군에 입대하여 군사적.. 2024. 12. 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