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순우리말11

알짜 뜻 : 여럿 가운데 가장 중요하거나 훌륭한 물건을 지칭하는 명사 알짜는 한국어에서 여럿 가운데 가장 중요하거나 훌륭한 물건을 지칭하는 명사로, 2023년 표준국어대사전에 정식 등재되며 언어적 위상을 공인받았다. 이 용어는 '알(벗겨낸 핵심)'과 '짜(뽑아낸 것)'의 합성어로,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실속 있는 표본 △가치 있는 본질을 추출한 결과물을 의미한다.어원적 기반과 의미 확장1. 순우리말의 조어법'알-' 접두사는 겉을 덮은 껍질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며(알몸, 알땅), '-짜'는 '뽑다'의 옛말 'ᄢᆞ다'에서 유래했다. 따라서 알짜는 겉잡음을 제거한 순수 핵심이라는 뉘앙스를 내포한다. 18세기 문헌인 『역어유해』에서 '알ᄎᆞᆷ'으로 처음 등장하며, 1920년대 현대적 용법으로 정착되었다.2. 의미 층위의 다각화물리적 추출: 곡식에서 쭉정이를 걸러낸 정제(精製).. 2025. 6. 15.
투미하다 뜻 : ‘어리석고 둔하다’, ‘이해력이 부족하다’는 순우리말 ‘투미하다’는 순우리말로, ‘어리석고 둔하다’, ‘이해력이 부족하다’는 뜻을 가진 형용사입니다. 이 글에서는 투미하다의 의미, 어원, 활용 예시, 비슷한 단어들과의 비교, 지역별 사용 차이까지 자세히 소개합니다.투미하다란? — 순우리말 속 숨은 표현1. 투미하다의 정의‘투미하다’는 순우리말 형용사로, 주로 다음과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어리석고 둔하다깨우침이 느리고 재주가 무디다이해력이 부족하고, 상황 판단이 느린 사람을 가리킨다이 단어는 표준어로 등재되어 있으며, 일상보다는 문어체나 묘사적인 문장에서 주로 등장하는 표현입니다.“그는 투미해서 뭘 가르쳐도 반응이 없더라.”“솜씨가 투미하니 기대하지는 마라.”2. 투미하다의 어원과 언어적 성격‘투미하다’는 그 어원이 정확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투미’라는 .. 2025. 4. 25.
안다미로 뜻 : '담은 것이 그릇에 넘치도록 많이'라는 의미 '안다미로'는 우리말 중 하나로, 그 의미와 유래를 이해하면 언어의 아름다움과 깊이를 느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안다미로'의 정의부터 활용 사례까지 자세히 알아봅니다.안다미로의 정의와 어원'안다미로'의 의미부사로서의 사용: '안다미로'는 부사로 사용되며, '담은 것이 그릇에 넘치도록 많이'라는 의미를 지닙니다. 즉, 어떤 것이 풍부하게 가득 차 있음을 표현합니다.순우리말의 아름다움: 이 단어는 순수한 우리말로, 그 자체로 한국어의 미와 정서를 담고 있습니다.어원의 유래어원에 대한 설명: '안다미로'는 '안다'와 '미로'의 결합으로 이루어집니다. '안다'는 '담다'의 옛말이며, '미로'는 '그릇'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안다미로'는 '그릇에 담다'라는 의미에서 발전하여 '그릇에 넘치도록 많이 담다'.. 2025. 3. 26.
진토배기의 뜻 : '진짜', '순수한'이라는 의미를 강조하는 순우리말 진토배기는 진짜, 순수함을 강조하는 한국 고유의 단어로, 깊은 뿌리를 가진 순우리말입니다. 이 단어의 유래와 사용법을 통해 한국어의 아름다움을 만나보세요.진토배기의 뜻과 유래진토배기의 정의순수성과 진정성을 담은 단어: 진토배기는 '진짜', '순수한'이라는 의미를 강조하는 순우리말입니다. 일상에서는 본질적이고 진실된 것을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비유적 의미: 단순히 물리적인 '진짜'뿐만 아니라, 사람의 성품이나 마음가짐의 순수함을 나타낼 때도 쓰입니다.표현의 강도: '진짜'보다 더 강한 뉘앙스를 지니고 있어, 강조가 필요한 상황에서 사용됩니다.단어의 어원과 역사순우리말에서 유래: 진토배기는 한자어와는 거리가 먼 순수 한국어로, 오랜 세월 동안 구어체에서 자연스럽게 사용되었습니다.지방별 표현 차이: 지역.. 2025. 1. 16.
도담도담 뜻: 건강하고 씩씩하게 자라는 아름다운 표현 도담도담이란?도담도담의 기본 의미'도담도담'은 어린아이가 건강하고 귀엽게 잘 자라는 모습을 표현하는 순우리말입니다. 이 단어에는 아이가 작고 소중한 생명에서 씩씩하고 무럭무럭 자라나는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주로 부모가 아이에게 가지는 사랑과 기대, 축복을 담아 사용됩니다.탄생과 성장의 기쁨도담도담은 탄생과 성장의 기쁨을 나타내는 단어로, 자녀의 성장 과정에서 많이 쓰입니다. 아이가 튼튼하고 기쁘게 자라는 모습을 바라며 도담도담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자연스러운 성장의 아름다움을 담고 있습니다.도담도담의 유래‘도담도담’은 고유의 한국어에서 유래한 순수한 우리말로, 조상들이 아이의 무사한 성장을 기원하며 사용하던 단어입니다. 한국의 전통 문화와 감성을 그대로 반영하며, 자연과 생명의 조화를 담은 언어로 자.. 2024. 12. 12.
온새미로 뜻: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의 순우리말 온새미로란 무엇인가?온새미로의 기본 의미‘온새미로’는 순우리말로 ‘본래 모습 그대로’, ‘자연스러움 그대로’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별히 꾸미거나 인위적인 요소가 가미되지 않고, 본래의 자연스러운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는 상태를 표현하는 단어입니다. 이는 한국어의 정서와 자연을 담아내는 아름다운 표현 중 하나로, 평온한 느낌을 전달합니다.자연과의 조화온새미로는 자연 속에 있는 모든 것들이 인위적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상태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나무가 자라는 모습, 강물이 흐르는 모습처럼, 어떠한 억지스러움 없이 본래의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모든 것을 이 단어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어원과 배경온새미로는 본래부터 쓰여온 순우리말로, 자연스러운 상태를 강조하기 위해 주로 사용됩니다. 어원적인 뿌리를.. 2024. 1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