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추원2 도병마사 식목도감 : 고려시대 국정 운영을 위한 양대 독자적 회의 기관 서론고려시대는 당나라의 제도를 모방하여 2성 6부의 중앙 관제를 정비하면서도, 고려만의 독자적인 정치 체제를 구축했습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도병마사(都兵馬使)와 식목도감(式目都監)이라는 두 개의 회의 기관입니다. 도병마사는 대외적인 국방과 군사 문제를 관장했고, 식목도감은 대내적인 법제와 격식을 관장하는 기관으로, 이 두 기관은 고려 귀족 정치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핵심적인 정치 기구였습니다. 이들 기관은 중국의 당나라나 송나라, 그리고 신라나 태봉의 관제에서 기원하지 않은 순수한 고려의 독자적인 정치 기구로서, 고려 왕조의 정치적 독창성을 대변하는 중요한 제도적 장치였습니다.도병마사의 설립과 발전도병마사는 989년(성종 8년)에 설치된 동서북면병마사(東西北面兵馬使)의 판사제(判事制)에서 .. 2025. 10. 19. 윤덕영: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친일파의 행적 윤덕영은 대한제국의 관료로서 다양한 직책을 역임하였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친일 행위로 악명 높았습니다. 그의 생애와 주요 행적을 살펴봅니다.생애출생과 가문출생일: 1873년 12월 27일출생지: 한성부가문: 해평 윤씨부친: 윤철구(영돈녕부사)조부: 윤용선(의정부의정대신)교육과 초년기과거 급제: 1894년일본 시찰: 1895년 조사 시찰단의 일원으로 일본을 방문관료 경력총리대신 비서관 겸 참서관시독관내부 지방국장법무국장경기도 관찰사황해도 관찰사철도원 부총재시종원경친일 행적한일 병합 조약 체결주요 역할: 1909년 이완용 등과 함께 한일 병합 조약 체결에 적극 참여행동: 고종과 순종을 협박하여 국새를 탈취하고 늑약 체결을 주도보상: 훈1등 자작 작위 수여고종 사망과 위조 첩지 사건사망 시기: 1926년 1월 .. 2025. 1. 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