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기관1 도병마사 식목도감 : 고려시대 국정 운영을 위한 양대 독자적 회의 기관 서론고려시대는 당나라의 제도를 모방하여 2성 6부의 중앙 관제를 정비하면서도, 고려만의 독자적인 정치 체제를 구축했습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도병마사(都兵馬使)와 식목도감(式目都監)이라는 두 개의 회의 기관입니다. 도병마사는 대외적인 국방과 군사 문제를 관장했고, 식목도감은 대내적인 법제와 격식을 관장하는 기관으로, 이 두 기관은 고려 귀족 정치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핵심적인 정치 기구였습니다. 이들 기관은 중국의 당나라나 송나라, 그리고 신라나 태봉의 관제에서 기원하지 않은 순수한 고려의 독자적인 정치 기구로서, 고려 왕조의 정치적 독창성을 대변하는 중요한 제도적 장치였습니다.도병마사의 설립과 발전도병마사는 989년(성종 8년)에 설치된 동서북면병마사(東西北面兵馬使)의 판사제(判事制)에서 .. 2025. 10. 1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