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가4 어니스트 베델 : 대한제국의 자유와 독립을 위해 헌신한 영국의 언론인 생애와 초기 활동어니스트 토머스 베델(Ernest Thomas Bethell)은 1872년 11월 3일 영국 브리스틀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한국명으로 배설(裵說)이라 불리기도 했으며, 한국 독립운동사에서 '푸른 눈의 독립운동가'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베델의 아버지 토머스 핸콕 베델(Thomas Hancock Bethel)은 양조회사 서기와 회계원 등을 거쳐 극동지방을 상대로 하는 무역업에 종사했던 인물이었습니다. 베델은 1885년부터 1886년까지 브리스틀의 머천트 벤처러스 스쿨(Merchant Venturers School)을 다녔는데, 이 학교는 당시 브리스톨의 상인조합이 운영하던 실업전문학교로 훗날 브리스틀대학으로 발전했습니다. 16세인 1888년, 베델은 아버지의 요청으로 일본 고베로 건너가 무.. 2025. 10. 15. 정인보 : 일제강점기 조선의 독립운동가이자 한학자·역사학자 정인보(鄭寅普, 1893-1950)는 일제강점기 조선의 독립운동가이자 한학자·역사학자로, 민족정신을 고취하고 식민지 현실에 맞선 지식인의 표상이었다. 1910년대 중국 상해에서 독립운동을 시작한 그는 1920-30년대 『동아일보』 논설위원으로 활동하며 "오천년간 조선의 얼"을 주창했고, 양명학 연구를 통해 주체적 역사관을 정립했다. 1945년 광복 후 대한민국 초대 감찰위원장을 역임했으나 한국전쟁 중 납북되어 생애를 마감한 그의 행적은 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도덕적 고뇌와 민족주의적 실천을 응축적으로 보여준다.가문 배경과 학문적 기반소론 명문가의 후예동래 정씨 소론 계열의 명문가에서 태어난 정인보는 철종 대 영의정 정원용의 증손으로, 조선 후기 관료 엘리트의 혈통을 이었다. 13세 시절 이건방에게 사사하며.. 2025. 5. 27. 오금손 대위: 독립운동과 전쟁의 영웅 오금손 대위는 독립운동가의 후손으로 태어나,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이라는 격동의 시대를 온몸으로 견뎌낸 대한민국의 영웅적 인물입니다. 그녀의 삶은 한국 현대사의 아픔과 극복을 상징하며, 후대에 귀감이 되고 있습니다.초기 생애와 가족사출생 배경1930년 중국 베이징에서 태어난 오금손은 독립운동가 오수암 선생의 딸로 태어났습니다.생후 1주일 만에 부모를 잃고, 중국인 가정에서 양육되며 성장했습니다.그녀의 어린 시절은 한국과 중국의 독립운동이 교차하는 역사적 순간들과 연결되어 있었습니다.가족의 독립운동 유산오금손의 부친 오수암은 일제강점기 동안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던 독립운동가였습니다.부모를 일찍 잃었지만, 그녀의 가정환경과 양육과정은 독립운동의 정신을 이어받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독립운동과 .. 2025. 1. 7. 호머 헐버트의 묘비명: 한국을 사랑한 외국인의 마지막 메시지 호머 헐버트(Homer Hulbert)는 조선 말기와 일제강점기 동안 한국의 독립과 문화를 위해 헌신한 미국인 선교사이자 교육자였습니다. 그의 묘비명은 그의 삶과 한국에 대한 깊은 애정을 담고 있어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묘비명의 내용과 의미헐버트의 묘비에는 그의 출생과 사망 연도, 그리고 "나는 웨스트민스터 사원보다 한국 땅에 묻히길 원하노라"는 그의 유언이 새겨져 있습니다. 이 문구는 그가 한국을 얼마나 사랑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표현입니다.서울 합정동 양화진 외국인 묘지에 위치한 호머 헐버트의 묘비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새겨져 있습니다:영문 비문상단에는 영문으로:"HOMER B. HULBERTJANUARY 1863 - AUGUST 1949MAN OF VISION AND FRIEND .. 2025. 1. 6. 이전 1 다음